과거와 현재가 과학으로 통하는 공간
아산 장영실과학관
장영실연대기
년도 | 발명품 |
---|---|
(생몰년 미상) | ㅇ 동래현(현재의 부산)에서 출생하였다. 장영실의 본관은 아산 장씨(牙山 蔣氏)로 아버지는 전서(典書)를 지낸 장성휘 (蔣成暉)이며 어머니는 관기였다고 전해진다. |
1421년 (세종 3년) |
ㅇ 인재를 중시했던 세종의 명을 받아 명나라로 유학, 각종 천문관측기기를 익히고 돌아왔다. |
1423년 (세종 5년) |
ㅇ 어명으로 정5품인 상의원별좌로 임명받았다. ㅇ 중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 후 왕의 특명으로 관노의 신분을 벗게 된다. ㅇ 본격적으로 궁중기술자로서의 활동이 시작됐다. 원래 상의원은 궁중의 의복과 금은보화를 관리하는 관청이다. 그러나 실제로 장영실이 맡은 일은 물시계 제작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. |
1424년 (세종 6년) |
ㅇ 등용 1년 만에 물시계 경점지기를 제작한다. ㅇ ≪세종실록≫에는 중국의 것을 참고하여 청동으로 경점의 기를 부어서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. 그 공로로 정5품의 행사직으로 승진한다. |
1432년 (세종 14년) |
ㅇ 하늘을 관측하는 천문관측기구인 간의를 제작한다. 간의는 장영실이 처음 만들었던 천문관측기구이다. |
1433년 (세종 15년) |
ㅇ 간의와 성격이 다른 천문관측기구인 혼천의를 제작한다. ㅇ 이후 천문관측기구와 자동물시계를 연구하기 위해 명나라 유학길에 오른다. |
1434년 (세종 16년) |
ㅇ 자격루, 앙부일구, 갑인자를 제작한다. ㅇ 자동물시계인 보루각의 자격루를 설치하고, 해시계인 앙부일구를 만들었다. ㅇ 갑인자는 동활자인 경자자의 결함을 보완한 금속활자인데, 장영실은 어명을 받고 갑인자의 주조를 감독했다. ㅇ 경상도 채감별감 발탁, 철과 구리의 채광 제련을 감독했다. |
1437년 (세종 19년) |
ㅇ 해시계 발명품인 현주일구, 천평일구, 정남일구, 일성정시의, 규표 등을 제작한다. |
1438년 (세종 20년) |
ㅇ 흠경각(옥루)을 제작한다. 대호군(종3품)으로 승진한다. |
1441년 (세종 23년) |
ㅇ 세계 최초의 우량기인 측우기를 제작한다. ㅇ 하천 수위를 재는 수표를 제작한다. 그 공으로 상호군으로 승진한다. |
1442년 (세종 24년) |
ㅇ 3월 16일 장영실이 직접 제작한 안여(임금이 타는 가마) 파손 사건이 발생한다. ㅇ 그 해 5월 3일 불경죄로 곤장 80대를 맞고 파직되며, 그 후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. |